지난 13일(현지시간) S&P500지수가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하며 조정 국면에 들어섰습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의 추가 관세 부과 예고, 연준(Fed)의 불확실한 금리 정책 방향,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에 대한 경계감 등 여러 요인이 얽혀 만들어진 결과인데요.
글로벌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와 함께 투자자들 사이에서 버퍼ETF를 향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방 손실을 줄이면서도 예측 가능한 수익구조를 구축하는 버퍼ETF 특징 때문이죠.
지금부터 2025년 3월 25일, 아시아 최초* 상장을 앞둔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ETF 특징과 투자 전략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시아 주요 거래소(JPX, HKEX, KRX, BSE, NSE, SZSE, SSE, TWSE, SGX) 상장 ETF 중 최초, 2025.03.11 기준

Q.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ETF는 어떤 ETF인가요?

버퍼ETF는 참조자산인 S&P500 지수의 미리 설정된 기간 성과에 따라, 사전에 설정한 목표 수익구조를 추구하는 ‘디파인드 아웃컴’(Defined Outcome)* 상품입니다.
*Defined Outcome 전략: 사전에 설정된 수익 손실 구조에 투자
Kodex미국S&P500버터3월액티브 ETF는 S&P500 옵션 전략을 활용하여 시장 하락 시 손실을 일정 부분 완충하고, 상승 시 사전에 설정한 범위 내 수익을 추구하죠. 이러한 특징으로 시장이 급락하더라도 투자 손실을 일부 완충할 수 있습니다.
Q. 버퍼ETF, 미국에서 주목받고 있는 ETF라고 하던데요?

네, 버퍼 ETF는 2016년 미국에서 처음 출시된 이후 AUM 전체 규모가 최근 5년 내 30배 이상 성장했으며, 현재 미국 시장 규모 90조원(‘25년 2월 말 기준)으로 추정되는 상품군입니다.
특히 미국 주식시장 변동 폭이 컸던 2022년을 기점으로 최근 3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79%에 달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정책 리스크로 경기가 불안정한 시기일수록 손실 완충 효과 추구 가능한 투자 대안책으로써 주목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부터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ETF 투자 시 체크리스트를 함께 살펴보시죠!
Check 1️⃣ 하락장에서는 손실 완충 추구 + 상승장에서는 캡 수준까지 수익 기회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ETF는 1년간 미국 S&P500지수에 투자하며 하락장에서는 버퍼 수준으로 손실 완충 효과를 추구하고, 상승장에서는 캡 수준까지 상승 참여를 추구하는 아시아 최초*의 버퍼ETF입니다.
*아시아 주요 거래소(JPX, HKEX, KRX, BSE, NSE, SZSE, SSE, TWSE, SGX) 상장 ETF 중 최초, 2025.03.11 기준
버퍼ETF 수익 구조에서 중요한 요소는 ‘버퍼’, ‘캡’, ‘아웃컴기간’인데요. 버퍼는 참조자산(S&P500) 하락 시 일정 범위 내 손실을 일부 완충해 주는 역할을, 캡은 참조자산 상승 시 일정 범위 내 수익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아웃컴기간은 추구하는 버퍼 수익구조를 위해 옵션 포지션을 구축한 날로부터 해당 옵션의 만기일까지 걸리는 1년의 기간을 의미하는데요. 이 아웃컴기간 종료일을 기준으로 버퍼와 캡이 추구됩니다.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ETF의 수익구조는 아웃컴기간 시작일부터 종료일까지 보유 시 추구가 가능한데요.
버퍼와 캡 수준을 각각 10%로 가정했을 때, 상장일부터 아웃컴기간 종료일인 1년이 지난 뒤 S&P500 누적수익률 국면별로 수익구조 예시를 살펴볼까요?
① 버퍼(10%) 초과 하락 시: 1년 뒤 S&P500 지수 누적수익률 -22% ▶ 최종수익률 -12%로 종료 추구 (10% 만큼 버퍼 완충 효과)
② 버퍼(10%) 이내 하락 시: 1년 뒤 S&P500 지수 누적수익률 -9% ▶ 최종수익률 0% 추구
③ 캡(10%) 이내 상승 시: 1년 뒤 S&P500 지수 누적수익률 +9% ▶ 최종수익률 +9%로 종료 추구 (S&P500 수익률 수준)
④ 캡(10%) 초과 상승 시: 1년 뒤 S&P500 지수 누적수익률 +12% ▶ 최종수익률 +10%로 종료 추구 (캡 수준까지 상승)
이렇듯 S&P500지수 하락 시 버퍼(Buffer) 효과로 최대 10% 수준까지 손실 완충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S&P500지수 상승 시에는 사전 설정한 캡 수준까지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으며, 캡 수준은 아웃컴 기간 종료 후 매년 옵션 포지션이 신규로 구축되기 때문에 그 시장상황에 따라 매년 변동됩니다.
또한 수익구조는 분배금을 포함한 총수익률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1년에 1회 발생하는 결산·분배의 결과로 실질 수익구조는 목표로 하는 수익구조와 다를 수 있습니다.
※ 아웃컴기간의 수익구조는 환변동을 미반영한 USD 변환 기준이나 Kodex 미국S&P500 버퍼3월 액티브 ETF는 환노출 ETF로, 실제 ETF 수익은 환율 변동 영향에 따라 아웃컴기간 수익구조와 상이해질 수 있음
Check 2️⃣ 버퍼ETF, 아웃컴 기간에 따른 변화
버퍼 ETF는 아웃컴기간이 시작되는 시점에 투자하여 아웃컴기간 종료일까지 보유할 시 예상된 버퍼 및 캡 구조를 온전히 추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웃컴기간 도중 투자한다면 현재 ETF 가격 및 시장 상황별로 수익 구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투자 시점을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아웃컴기간 초기보다 아웃컴기간 종료일을 목표로 ‘버퍼’와 ‘캡’ 수준이 추구되므로, 버퍼 ETF의 수익은 아웃컴기간 종료일에 가까워질수록 최초 설정된 버퍼 수익구조와 유사하게 형성되는데요.
아웃컴기간 중의 버퍼 ETF 수익은 종료일 추구 가능한 버퍼 수익구조 선상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점, 투자 시 유념해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아웃컴기간 중도 매매 시 투자 시점에 따라서 투자자별로 수익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도 다시 한번 안내해 드립니다.
※ 아웃컴기간의 수익구조는 환변동을 미반영한 USD 변환 기준이나 Kodex 미국S&P500 버퍼3월 액티브 ETF는 환노출 ETF로, 실제 ETF 수익은 환율 변동 영향에 따라 아웃컴기간 수익구조와 상이해질 수 있음
Check 3️⃣ 버퍼 ETF 투자 시, 삼성 Kodex 홈페이지 활용법

※ 상기 표는 예시로서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합니다. 해당 화면은 현재 시장 상황이 아닌, 최종 캡과 버퍼 확정 전까지 변경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장 후 삼성 Kodex 홈페이지를 통해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ETF의 아웃컴기간 종료일까지 수익률 정보를 매일 투명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버퍼ETF와 S&P500의 아웃컴기간 시작일 이후 현재까지 누적수익률 현황, 투자 시점 별 ETF 잔여 캡, 잔여 버퍼 수준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배너 클릭하여 확인해 보세요! ⬇️

Check 4️⃣ 버퍼 ETF의 활용 포인트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ETF는 옵션 전략을 기반으로 손실 및 수익 범위가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는데요.
하락장에서는 손실 완충을, 상승장에서는 캡 수준까지의 수익 기회를 제공하므로 하락장에서 보호받고 싶은 투자자에게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식투자를 시작하는 보수적인 투자자나 리스크 관리를 원하는 주식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또한 중장기 투자, 분산투자 목적으로 포트폴리오 편입 시 활용도가 높습니다.
혼란스러운 시장 상황에서 예측할 수 있는 수준으로 손실 완충 효과를 추구하고 싶으신가요? 아래 버튼을 클릭해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ETF의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버퍼 ETF 상품은 어떤 분들이 투자하면 좋을지, 투자 시 유의할 점은 무엇인지 등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해 보세요! ⬇️
https://naver.me/5xjyamJs
ETF명 |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ETF |
상장일일 | 2025.03.25 |
종목코드 | 0026E0 |
위험등급 | 1등급 (매우 높은 위험) |
합성 총보 | 연 0.39% (운용 0.359%, 판매 0.001%, 신탁 0.02%, 사무 0.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