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움직이는 진짜 힘? KODEX 미국원자력SMR ETF(11/25 상장)

AI를 움직이는 진짜 힘, 원자력SMR에 투자하는 ‘KODEX 미국원자력SMR ETF’가 11월 25일 신규 상장합니다.

📌 I GOT THE POWER! AI를 움직이는 진짜 힘을 가져라

✅ 순수 SMR기업 10개에 초집중 투자
24시간 멈춤 없는 AI를 위한 ‘고효율 발전기’
✅ 미국 정부와 빅테크가 함께 주목하는 차세대 SMR
I GOT THE POWER! AI를 움직이는 진짜 힘을 가져라(0132H0) 
KODEX 미국원자력SMR ETF(11/25 상장)

투자 포인트 1️⃣
SMR대표 10개 기업에
초집중 투자

SMR에 투자하고 싶어 여러 ETF의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전력 유틸리티, 천연 가스 등 혼합형으로 광범위하게 투자를 하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KODEX 미국원자력SMR ETF는 원료, 설계 및 제조에서 시작하여 장비에 달하기까지 SMR 밸류체인별 대표 종목만 엄선한 순도 높은 포트폴리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MR 밸류체인 대표 종목만 엄선
SMR 대표 10개 기업에 초집중 투자
웨스팅하우스 지분
49% 보유 우라늄 생산
18.9%
차세대
SMR 개발사
18.1%
원자력 시스템
및 장비 공급업체
13.5%
미국 고순도 우라늄
상용화 기업
12.7%
세계 최초* 상용화
인가 SMR 설계 기업
9.3%
원자력 부품 ·
연료 제공
9.6%
미국 우라늄 탐사
및 생산 기업
7.3%
마이크로 모듈
리액터(MMR)개발
2.5%
방사선 모니터링 ·
안전 관리 솔루션 제공
3.6%
미국 우라늄 탐사
및 생산 기업
4.5%
*2020.08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 인증
원료
고순도 우라늄 공급은
차세대 SMR에 필수
설계·제조
장비
소형화 · 모듈화 등
제조 역량 중요


📌포트폴리오구성종목소개

Cameco: SMR 상용화에 따른 우라늄 수요 증가로 SMR 상용화 시, 직접적∙장기적 수혜가 기대
OKLO: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에 특화된 4세대 SMR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2027년 첫 상용 원자로 가동 목표

투자 포인트 2️⃣
24시간 멈춤 없는
AI를 위한 ‘고효율 발전기’

AI 수요가 가속화됨에 따라 데이터센터의 24시간 끊김 없는 전력 공급이 필수 요건으로 주목되고 있습니다.

미국 AI 데이터센터 전력소비량 전망
▶ 미국 데이터센터 전력소비는 한국 연간전력소비와 맞먹는 수준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연간 전력소비량은 약 600TWh 수준)
연평균 성장률
26.9%

2023년부터 2028년까지 미국 AI 데이터센터의 전력소비량은 연평균 26.9%의 성장률*이 전망됩니다.

* 출처 : 한국원자력연구원

타 에너지 대비 월등히 높은 원자력의 전력 변환 효율
▶ 2024년 연간 에너지별 전력 변환 효율
연료에 저장된 에너지의 92%를
실제 전기로 변환할 수 있다는 의미

이러한 빅테크의 전력 수요 전망으로 인해 원자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데요.
원자력은 92%의 전력 변환 효율*을 가진 에너지원 중 최고 효율의 에너지원이기 때문입니다

* 출처 : 미국 에너지 정보국(2024.12)

대형 원전 vs 소형 모듈형 원전 SMR
대형 원전
SMR
과거 대형 사고 이력,
비상시
대응 어려움
지진 대비 가능,
비상 시 원전 냉각으로
안전 유지
건설기간↑ (6년 이상)
부품 수 = 약 100만 개
건설기간↓ (3년 이하)
부품 수 = 약 1만 개
까다로운 입지 조건
(냉각수 공급 가능한
바다 근처)
작은 크기로 부지 제약↓
(오지나 사막도 가능)

또한, 원자력 발전소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첫번째는 대형원전, 두번째는 소형원전 SMR입니다. 이 중 소형원전 SMR은 안전성, 경제성, 유연성 등에서 대형원전보다 월등한 강점을 지녀 글로벌 SMR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투자 포인트 3️⃣
미국 정부와 빅테크가
함께 주목하는 차세대 SMR

미국 정부는 SMR 상용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행정명령을 발표*했고 이에 따라 글로벌 빅테크들의 SMR 기업들과의 LOI 및 MOU 체결 건수도 5배 이상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는 실제 상용화 단계로 전환이 이미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출처 : 백악관(2025.5.23) ** 출처 : Goldman Sachs

트럼프 대통령의 원자력 행정명령 발표 (2025.05.23)
Key Message: “SMR 배치 가속화”
1
원자력 산업 기반 재건
: 핵연료(LEU, HEU, HALEU*) 밸류체인 강화
2
DOE 원자로 시험 개정
: 첨단 원자로(SMR) 검토/승인/배치 신속
3
원자로규제위원회(NRC)의 개혁
: 3세대, 4세대 등 신규 원자로(SMR) 배치 촉진
4
국가안보를 위한 첨단 원자로(SMR) 활용
: 첨단원자로의 신속한 개발 배치 활용 보장
* HALEU(고순도 저농축 우라늄 - 차세대 SMR의 핵심원료), LEU(저농축 우라늄)
※ 자료 : 삼성자산운용, 백악관 ※ 상기 내용은 향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에 더해 구글, MS, OpenAI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SMR 및 관련 전력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미국 빅테크의 SMR 기업 투자 현황
[와이오밍] 4세대 SMR(Natrium) 착공
총 사업비 40억달러 절반 DOE 지원
[워싱턴] 4세대 SMR(Xe-100)를 
유틸리티 업체(Northwest)에 공급
[아이다호] 국립연구소 부지 내
4세대 SMR(Aurora) 건설추진
[테네시] 총 사업비 약 1억달러 규모 
4세대 SMR(Hermes-1) 착공
[텍사스] DOW 화학공단 부지 내 
 4세대 SMR(Xe-100) 건설 추진

빅테크가 SMR 투자를 확대 중인 이유는 SMR은 24시간 데이터센터 전력 가동, 친환경 에너지, 그리고 유연한 모듈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전력확보에 사활을 건 AI기업들에게 그 어떤 투자보다 전략적이고 필수적인 선택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으로 보입니다.

입맛따라 투자하는 KODEX AI 전력테마ETF 2종

KODEX 미국원자력 SMR ETF의 신규 상장으로, 드디어 KODEX AI 전력 생태계 라인업이 완성되었습니다. 이제 개인의 투자 관심사와 성향에 맞춰, AI 전력 분야에 좀 더 정교하게 투자가 가능해졌습니다.


📌본인의 입맛대로 골라 투자하는 KODEX AI 2종!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AI전력 인프라 밸류체인 전반에 균형 있게 투자
KODEX 미국원자력SMR: 차세대 원전기술인 SMR 밸류체인에 집중 투자

전력 발전, 차세대 발전 기술, 송전, 배전, 데이터센터/전력 효율화와 같은 AI 전력 인프라 밸류체인 전반의 성장성을 넓게 보고 싶다면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를, 그 중에서도 ‘차세대 발전 기술’로 주목받는 SMR에 깊게 집중하고 싶다면 KODEX 미국원자력SMR ETF를 선택해보세요.


AI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에너지 효율과 전력 안정성은 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SMR 산업의 성장성과 정책적 지원, 그리고 빅테크 기업들의 수요의 수혜를 기대하게 되는 ‘KODEX 미국원자력SMR ETF’는 2025년 11월 25일에 상장됩니다.

‧ KODEX 미국원자력SMR | 총보수 연 0.450% (집합투자 : 0.419%, AP : 0.001%, 신탁 : 0.020%, 일반사무 : 0.010%) | 위험등급 2등급(높은 위험) | 증권거래비용 등 추가 발생 가능
‧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 합성총보수 연 0.5474% (집합투자 : 0.419%, AP : 0.001%, 신탁 : 0.020%, 일반사무 : 0.010%, 기타비용 : 0.0974%) | 위험등급 2등급(높은 위험) | 직전회계연도 기준 증권거래비용 0.5762% 발생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