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포트폴리오 필수템! KODEX 미국종합채권 SRI 액티브 ETF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채권시장을 가진 나라는 어디일까요? 네, 맞습니다. 정답은 미국입니다. 2020년 기준 약 16경 원 규모의 글로벌 채권시장에서 미국 채권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6경 원으로, 전 세계 채권시장의 무려 40% 가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주식시장 규모인 5.2경 원보다도 큰 수치죠.*

이러한 미국 채권은 투자자라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좋은 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미국 채권에 손쉽게 투자할 수 있는 ETF가 등장했습니다. KODEX 미국종합채권 SRI 액티브(H) ETF가 바로 그 주인공입니다. 지금부터 함께 투자 포인트를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료: `20년 말 기준, SIFMA, 삼성자산운용, 환율: 1$당 1,300원 기준

| 투자 포트폴리오 필수템! KODEX 미국종합채권 SRI 액티브 ETF

① 글로벌 시장 규모 1위! 미국 채권을 내 포트폴리오에

2022년 8월 9일 상장되는 KODEX 미국종합채권 SRI 액티브(H) ETF는 국내 최초로 출시되는 미국 종합 채권 ETF입니다.(2022년 8월 KRX 기준) 글로벌 최대 시장 규모인 미국 채권은 포트폴리오의 빈칸을 채워줄 ‘필수템’이죠. 하지만 시장이 너무 방대하고 복잡해 개인이 투자하기에는 부담스러웠습니다. 이번 KODEX 미국종합채권 SRI 액티브(H) ETF가 출시되면서 ETF를 통해 복잡하고 방대한 미국 채권에 손쉽게 투자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자료: ‘20년말, Bloomberg, 삼성자산운용, 환율: 1$당 1,300원 기준

주식과 상관관계가 낮아 포트폴리오 분산 효과 UP

KODEX 미국종합채권 SRI 액티브(H) ETF는 다른 자산과 함께 투자하면 분산투자의 효과를 기대할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이 S&P500, 나스닥100, 코스피 등 주식과의 상관관계가 낮다는 특징 때문인데요. 상관관계가 낮다는 것은 주식이 떨어지더라도 채권이 보완해주고, 채권이 부진할 때 주식의 성적이 좋을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죠. 따라서 주식과 채권을 함께 담으면 잘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오랜 기간 투자해야 하는 연금 포트폴리오에 주식 비중이 높은 편이라면 미국 채권에 주목할 필요가 있죠.

*자료: Bloomberg, 삼성자산운용, 기간: `07.07.01~`22.06.30, 주간 데이터로 상관계수 산출

③ 미국 국채뿐 아니라 글로벌 주요 금융기관 채권에 투자

KODEX 미국종합채권 SRI 액티브(H) ETF의 참고지수는 ‘Bloomberg MSCI US Aggregate 2BN ex Securitized SRI Capped Index (KRX, Hedged)’입니다. 이 지수는 미국 국채와 함께 뱅크 오브 아메리카, JP모건 등 내로라하는 글로벌 주요 금융기관(G-SIBs) 발행 채권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종목명에 포함된 SRI(Socially Responsible Investing, 사회적 책임 투자)에서 알 수 있듯, ESG에 문제가 있는 종목들을 선별하여 편출하고 있는 채권 지수입니다.

*자료 : 참조지수 구성 포트폴리오, 2022년 6월 30일 기준
*상기 내용은 향후 시장상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④ 전문가가 운용하는 액티브 ETF

미국종합채권 지수는 미국채 뿐만 아니라 회사채도 포함하고 있는데요. 지수는 보통 시가총액 방식으로 비중을 결정하기 때문에 채권발행을 많이 하는 기업이 지수 내에서 비중이 커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채권 발행을 많이 한다는 것은 부채가 그만큼 많다는 뜻이고, 이는 해당 기업의 신용도가 점점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죠. 그래서 지수만 그대로 따라가다보면 안좋은 기업을 역선택해서 담게 될 위험이 생기는데요.  KODEX 미국종합채권 SRI 액티브(H) ETF는 액티브 상품인만큼 분석 역량을 갖춘 펀드매니저가 이러한 비중을 조정하여 운용합니다. 비교지수(BM)에 없는 종목들에 대해서도 자체 리서치 및 ESG 분석을 통해 투자 여부를 결정해 비교지수 대비 초과성과를 추구합니다.

미국 채권시장은 매력적인 투자처이지만, 일반 개인 투자자가 접근하기에는 너무 방대하고 복잡한 시장인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KODEX ETF라면 미국 채권시장에 매우 손쉽게 투자할 수 있죠. KODEX 미국종합채권 SRI 액티브(H) ETF로 투자 포트폴리오에 보다 균형을 더해보시면 어떨까요?

삼성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2-445호(2022.08.08~2023.08.07)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