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6월 1일 상하이 봉쇄가 해제되었습니다. 중국이 도시 봉쇄 빗장을 풀고 정상화에 나서자 중화권 증시 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함께 부풀고 있는데요. 특히 중국 2차전지 ETF가 한 달 새 급반등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이럴 때 주목하면 좋을 ETF는 무엇일까요? 정답은 바로, 중국 2차전지 배터리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KODEX 차이나2차전지MSCI ETF’입니다.
| 중국 2차전지 산업에 집중! KODEX 차이나2차전지 MSCI ETF

KODEX 차이나2차전지MSCI ETF 주요 특징
1) 중국 배터리 기업에 집중 투자
KODEX 차이나2차전지MSCI ETF는 중국 2차전지 배터리 기업과 소재/장비 관련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ETF입니다. 중국은 전 세계 배터리 시장 점유율이 49%인 세계 1위 시장*인데요. KODEX 차이나2차전지MSCI ETF는 글로벌 배터리 1위 업체인 CATL을 필두로 BYD, Eve Energy 등 핵심기업들로 구성**된 만큼 중국 2차전지 대형주에 투자하길 원하는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자료: SNE 리서치, 2021년 기준
**자료: 삼성자산운용, MSCI, 2022년 2월 28일 기준
**상기 내용은 향후 시장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급성장 중인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31.8%* 성장이 예상됩니다. 2차전지는 전기차를 넘어 무선가전, 로봇,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산업의 핵심 동력원인데요. 전기차 시장 성장과 친환경 정책 등과 맞물려 꾸준히 수요가 늘 것으로 전망됩니다.
*자료: SNE리서치, 2020년 기준
3) 직접 투자 어려운 중국 본토 기업에 투자
KODEX 차이나2차전지MSCI ETF의 가장 큰 특징은 개인 투자자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중국 본토 대표 종목들의 비중이 높다는 점입니다. 모건스탠리인터내셔널(MSCI)과의 지수 개발을 통해 중국 2차전지 관련 대표기업 20종목을 추출한 지수를 추종하는데요. 중국 2차전지 대형주를 중심으로 중국 2차전지 산업에 간편하게 투자 가능합니다.
*자료: 삼성자산운용, MSCI, 2022년 2월 28일 기준
*상기 내용은 향후 시장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KODEX 차이나2차전지MSCI, 기초지수 성과는?

KODEX 차이나2차전지MSCI ETF는 MSCI China all shares IMI Select Batteries Index를 기초 지수로 합니다. 지수 성과를 살펴보자면, 2022년 5월 31일 기준 1개월 누적 수익률 13.5%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중국의 도시 봉쇄 해제에 따라 중화권 증시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풀이되는데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중국 내 도시 봉쇄로 전기차 생산 등에 차질이 생기면서 2022년 4월 말까지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다시 반등하는 흐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료: MSCI, Bloomberg, 2022년 5월말 기준 (지수 산출일: 2018.5.31 = 100)
*상기 수익률은 펀드의 수익률이 아닌 비교지수의 수익률입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빠르게 덩치를 불리고 있는 중국 2차전지 시장은 매력적인 투자처입니다. 하지만 중국 본토 기업에 직접 투자가 어려워 고민이었다면, 오늘 소개해 드린 KODEX 차이나2차전지 MSCI ETF로 중국 2차전지 대형주에 투자해보는 건 어떨까요?

▼KODEX 차이나2차전지MSCI ETF가 더 궁금하다면?▼
https://www.kodex.com/product_view.do?fId=2ETFG2
ㅇ 투자자는 집합투자증권에 대하여 금융상품판매업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투자 전 (간이)투자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ㅇ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ㅇ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 변동, 환율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ㅇ 증권거래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ㅇ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단기간에 투자원금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삼성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2-350호(2022.06.27~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