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 30일 KODEX TDF 액티브 ETF가 총 3개 상품으로 출시됩니다. KODEX TDF 액티브 ETF는 글로벌 자산 배분을 핵심 전략으로, 더 나아가 상품별 액티브 전략까지 구사하는데요. 지난 콘텐츠에서는 KODEX TDF 액티브 ETF의 핵심 전략을 소개했다면(바로 가기) 이번에는 2030, 2040, 2050 각 상품별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잠깐!
액티브 전략이란? 비교 지수를 추종하는 핵심 전략과 별도로, 삼성자산운용 투자 리서치 센터의 분석을 기반으로 포트폴리오를 추가 구성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비교 지수 대비 초과 수익을 추구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죠.
| KODEX TDF 액티브 ETF, 상품별 특징은?

1) 2030: 자산 보존을 위한 안정적인 투자 추구
자산을 지키면서 보수적으로 투자하고 싶다면, 2030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KODEX TDF 2030 액티브 ETF은 글로벌 주식에 55.2%, 한국 채권에 44.8% 투자하는데요. 채권 투자 비중을 높여 투자 위험도를 낮췄습니다. 주식 투자의 경우, 액티브 전략으로 선진국 고배당 ETF에도 일부 투자해 비교지수 대비 초과 수익을 추구합니다.
*자료: 삼성자산운용, 2022년 3월 31일 예시 포트폴리오 기준
*상기 내용은 향후 시장상황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2) 2040: 자산 증식과 보존을 동시에
자산 증식과 보존을 동시에 하고 싶다면, 2040이 좋은 대안입니다. KODEX TDF 2040 액티브 ETF은 글로벌 주식에 60.8%, 한국 채권에 39.2% 투자하는데요. 글로벌 주식과 국내 채권에 균형 있게 투자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주식 비중이 다소 높은 편이지만, 2030과 동일한 액티브 전략으로 배당 중심의 인컴 자산을 병행해 보다 꾸준한 수익을 추구합니다.
*자료: 삼성자산운용, 2022년 3월 31일 예시 포트폴리오 기준
*상기 내용은 향후 시장상황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3) 2050: 적극적인 자산 축적 선호
적극적인 자산 증식이 목적이라면, 2050에 주목하시길 바랍니다. KODEX TDF 2050 액티브 ETF은 글로벌 주식에 76.8%, 한국 채권에 23.2% 투자하는데요. 주식 비중이 높은 만큼 친환경, 모빌리티, Ai 등 메가 트렌드 테마 ETF 등을 추가하여 적극적인 수익 창출을 추구합니다.
*자료: 삼성자산운용, 2022년 3월 31일 예시 포트폴리오 기준
*상기 내용은 향후 시장상황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KODEX TDF 액티브 ETF의 상품별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았습니다. TDF와 ETF의 만남! KODEX TDF 액티브 ETF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오늘 소개해 드린 내용을 참고해 자신의 투자 목적과 기간에 맞는 상품 또한 꼼꼼히 따져 보시길 바랍니다.
▼KODEX TDF 액티브 ETF가 더 궁금하다면? ▼
TDF도 ETF로 투자한다! KODEX TDF 액티브 ETF 한눈에 알아보기

삼성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2-326호(2022.06.20~2023.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