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어 성적, 한우, 가전제품까지 세상의 많은 것들에는 등급이 있습니다. 이러한 등급은 우리에게 선택의 기준을 제시해주는데요. 금융상품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투자’는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금융상품에는 위험에 대한 ‘등급’이 매겨집니다. 때문에 투자를 하기 전에는 반드시 해당 금융상품의 위험 수준을 파악해야 하는데요. 내가 투자하고자 하는 금융상품이 나의 투자위험 감수성향과 잘 맞을지 체크해야 하기 때문이죠.
펀드의 위험등급은 어떻게 매겨질까요?
펀드가 처음 만들어질 때는 ‘어떠한 자산에 투자하는지’에 따라 위험등급이 정해집니다.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운용사의 기준이 크게 다르지 않은데요. 아래 표를 통해 삼성자산운용의 기준을 확인해보세요. 1등급(매우 높은 위험) 펀드는 투자위험이 가장 큰 High-Risk High-Return형 금융상품이라는 뜻이고, 6등급(매우 낮은 위험) 펀드는 Low-Risk Low-Return형 금융상품이라는 의미입니다.

펀드의 위험등급은 정기적으로 바뀝니다
이렇게 정해진 펀드의 투자위험등급은 펀드가 만들어지고 3년이 지나면 매년 결산 때마다 다시 산정합니다. 그래야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정보가 되기 때문이죠. 등급을 다시 매길 때는 펀드의 실제 수익률 변동성을 기준으로 삼는데요. 최근 결산일을 기준으로 이전 3년(156주)간 펀드의 주간 수익률의 연 환산 표준편차를 계산합니다.

즉, 지난 3년간 펀드 수익률의 움직임이 평균수익률로부터 얼마만큼 왔다갔다 했는지를 보는 것인데요. 그 표준편차값이 위 기준에서 어디에 해당되느냐에 따라 등급이 다시 결정된답니다.
펀드의 위험등급은 뭘 보면 확인할 수 있을까요?
이렇게 매겨진 펀드의 위험등급은 각 펀드의 ‘투자설명서’(또는 간이투자설명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투자설명서는 해당 펀드 운용사 홈페이지나, HTS/MTS에서 펀드 상세보기로 들어가면 볼 수 있고요. 투자위험등급은 가장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에 투자설명서 파일의 1면 최상단에 자리잡고 있답니다. 게다가 펀드의 위험등급이 전체 6단계 중 어느 단계에 속하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고유의 색깔로 표현해주고 있죠.
아래 투자설명서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만들어진 지 3년이 안 된 펀드의 경우에는 ‘투자대상 자산의 종류 및 위험도’를 감안하여 투자위험등급을 분류했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삼성 픽테 프리미엄 브랜드 펀드(2등급-높은위험) 투자설명서>

투자설명서 바로가기
그리고 3년 이상 지난 펀드는 ‘실제 수익률 변동성’을 감안하여 등급을 분류했다고 안내가 되어 있답니다.
<삼성 한국형 TDF 2020(5등급-낮은위험) 투자설명서>

자신의 투자성향과 맞는지 확인하세요
펀드의 위험등급을 확인하는 이유는 해당 펀드가 자신의 투자성향에 적합한 금융상품인지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가령, 매우 보수적인 성향의 투자자인데 투자위험이 높은 펀드에 투자를 하게 되면 그 변동성을 심리적으로 견뎌내기 힘들어 바람직한 투자를 진행하지 못하게 됩니다. 반대로, 공격적인 성향의 투자자가 투자위험이 너무 낮은 상품에 투자하게 되면 투자의 의미와 재미를 찾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아래 테스트를 통해 자신의 투자위험 감수 성향이 어떤지 꼭 진단해보세요. 바람직한 투자, 이기는 투자를 위해서는 자신의 투자성향에 적합한 위험등급의 펀드에 투자하는 습관을 기르시기 바랍니다.
유의사항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 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 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운용결과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