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천 베일, 스티브 카렐, 라이언 고슬링, 브래드 피트 등의 역대급 캐스팅으로 개봉 전부터 큰 기대를 모은 영화 <빅쇼트>.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 마이클 루이스의 논픽션 ‘빅숏’을 원작으로 그동안 스크린에서 쉽게 접할 수 없었던 금융시장을 다룬 작품인데요. 2008년, 4명의 펀드 매니저가 세계 경제를 걸고 은행과는 정반대로 투자하여,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 20조 원이라는 어마어마한 수익을 벌어들인 실제 이야기를 다룬 영화랍니다. 소재가 소재인만큼 영화 곳곳에 전문적인 경제용어가 등장하는데요. 영화 줄거리를 되짚어 보면서 빅쇼트에 나오는 경제 개념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다시보는 영화 속 경제용어!
빅 쇼트
먼저, 이번 영화의 제목이자 전체적인 주제인 빅쇼트(Big Short)는 가치가 하락하는 쪽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을 일컫는 용어예요. 금융시장에서의 숏(short)은 매도를, 롱(long)은 매수를 뜻하므로 앞에 ‘Big’이 붙어 ‘대규모 매도’를 의미하는 것이죠. 주인공들이 곧 붕괴 될 미국 주택시장에 거액을 투자한 것을 빗대고 있답니다.
서브프라임 사태
미국의 사상 최악의 위기를 몰고 온 이 사태는 영화의 배경이 됩니다. 당시 낮은 금리에 부동산 값이 활황이라 영화 속에 등장하는 많은 시민들이 돈을 빌려 집과 별장 등을 사들이는데요. 저소득 근로자인 스트립댄서들도 예외가 없었죠. 이는 신용등급이 낮은 저소득층에게 주택 자금을 빌려주는 비우량 주택 담보 대출이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불과 몇년 후, 미국의 부동산 거품 붕괴로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대형 은행들이 줄줄이 파산 신청을 하고,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단계에 이르게 됩니다. 이때 네명의 주인공들은 은행의 폭락을 예견하여 금융기관의 부동산 CDO를 놓고, CDS계약을 맺어 거액을 벌게 되는 것이죠.
CDO • CDS
CDO(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s : 부채담보부증권)는 회사채나 금융회사의 대출채권 등을 조합해서 증권화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CDS(Credit Default Swap : 신용부도스와프)는 한 금융상품의 가치가 떨어지거나 부도가 났을 때 그 손실을 보전해주는 계약을 말합니다. 즉, CDO를 놓고, CDS를 계약하자는 것은 CDO 파산으로 채무불이행이 되면, 그 금액만큼 보험금을 지급해달라는 뜻을 의미한 것이었죠.
영화에서 파생 상품이 성공할 수 있는 이유를 젠가로 설명하는 장면이 있었는데요. 주인공은 낮은 신용등급의 블록을 아래쪽에 배치하고, 높은 신용등급을 위쪽에 쌓았습니다. 이후, 아래쪽에 배치한 블록을 빼내어 결국 위쪽에 배치한 높은 등급의 블록이 무너지는 것을 보여주었죠. 이 장면은 젠가를 통해 모기지와 CDO 시장의 붕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이었답니다.
이처럼 전 연령대를 아우르기엔 다소 어려운 경제용어들이 주를 이뤘던 빅쇼트! 그럼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흥행 기록을 남긴 것은 갈수록 경제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져가기 때문이 아닐까요? 성자씨가 알려드리는 경제 소식을 통해 더욱 현명하고, 똑똑한 투자와 선택을 해보시기를 바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