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가 대세! ‘ETF’의 모든 것을 파헤쳐보자!

상장지수펀드, ETF 이름은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초보자들에게는 생소하게 느껴질지 모르지만, 요즘 투자의 대세라고 불리는 ETF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ETF메인

ETFETF란!

Exchange Traded Funds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라고 불리는데요. 쉽게 표현하자면 ETF는 실시간 투자가 가능한 인덱스 펀드입니다. 인덱스 펀드란 벤치마크 지수의 흐름을 그대로 쫓아갈 수 있도록 만들어진 펀드로써,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할 경우 같은 비율로 움직이는데요. ETF는 인덱스펀드처럼 벤치마크 지수를 따르는 한편, 주식시장에서 일반 주식처럼 원하는 때에 사고 팔 수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벤치마크 지수를 따르는 인덱스 펀드와 거래가 있다면 원하는 때에 사고 팔 수 있는 직접 투자의 장점을 모아 만든 펀드를 ETF라 할 수 있는데요. 게다가 주식 매도거래 시 발생하는 증권 거래세가 면제 된다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ETFETF의 장점

etf 장점 copy

첫째, 개별종목과 동일한 방법으로 매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투자 관리가 편리하다.
일반 펀드의 경우 환매를 신청하면 환매금을 받기까지 며칠의 시간이 소요되고, 각 펀드 기준에 따라 미래 종가기준으로 환매가 되기 때문에 환매신청 시점과 환매금 수령 시점의 금액이 다를 수 있습니다. ETF는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매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한 관리가 가능합니다.

둘째, 비용이 일반 펀드에 비해 저렴하다.
ETF의 보수는 일반 펀드보수에 비해 적은 편이며 일반 펀드와 달리 펀드 환매수수료도 발생하지 않는데요. 단기적으로는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도 장기적인 투자를 고려한다면 비용이 저렴한 투자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겠죠?

셋째, 위험에 대한 분산을 주식보다 쉽게 할 수 있다.
ETF는 펀드를 주식화 한 투자상품이다 보니 한 주를 보유해도 펀드의 위험분산효과를 누릴 수 있는데요. 단일 주식의 경우 하나의 변수에 의해 큰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지만 ETF는 개별 종목의 변수에 의한 위험을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etf 종류

ETFETF 종류

ETF는 그 종류 또한 다양한데요. 삼성자산운용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식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시장지수 ETF‘, 주요 투자 테마별 대표주에 분산 투자하는 ‘주식테마 ETF‘, 대표 산업군에 선택과 집중하여 투자하는 ‘주식섹터 ETF‘, 해외 주식시장에 편리하게 투자할 수 있는 ‘해외지수 ETF‘, 실물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실물자산(파생) ETF‘, 개인도 소액으로 채권투자 가능한 ‘채권 ETF‘, 다양한 자산군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혼합자산 ETF‘,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합성 ETF‘ 등 많은 종류의 KODEX 시리즈가 다양한 선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KODEX 합성-미국섹터 ETF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ETFKODEX 합성 미국섹터 ETF 시리즈

Open copy

1. KODEX 합성 미국 IT ETF
    –  미국 경제 부활의 주역으로 손꼽히는 Technology 산업! KODEX로 미국 IT 산업 주요 기업에 빠르고 쉽게 투자

2. KODEX 합성 미국산업재 ETF
     – 미국 제조업 부활 정책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는 Industrial 산업 글로벌 우량 기업에 투자

3. KODEX 합성 미국금융 ETF
     – 미국 금융 산업의 턴어라운드 시대, 세계 금융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 금융산업에 집중 투자

4. KODEX 합성 미국바이오 ETF
    – 미국 바이오 제약 기업의 압도적인 R&D 역량과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여 집중 투자

합성 ETF란?

원래 기존의 ETF를 발행하기 위해서는 해당지수를 구성하는 종목을 정확하게 비율대로 매입해야 했지만, 이 경우 거래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해외 부동산이나 채권 관련 지수에 맞는 상품을 내놓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에 반해 합성 ETF는 거래상대방인 증권사와 체결한 장외파생상품 계약을 주된 투자대상으로 하여 벤치마크를 추적하는 펀드이며, 그간 접근하기 어려웠던 해외 부동산과 원자재까지 투자범위를 넓힐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를 대표하는 4개의 핵심섹터 투자 ETF로, 해외 주요 시장에도 쉽고 빠르게 KODEX로 투자하시는 여러분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삼성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18-189호(2018.05.21)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