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슨홀 미팅 이후 시장이 반락한 이유는? 2022년 9월 주식시장 전망

| 8월 주식시장은 어땠나요?

2022년 8월 코스피는 0.8%p 상승했습니다. 방위산업, 에너지, 2차 전지 등이 테마를 형성해 양호한 성과를 내면서 ‘조선, 기계, 에너지, IT 가전, 화학’ 업종이 강세를 보였는데요. 반면, ‘소프트웨어, 통신, 건강관리, 반도체’ 업종은 약세를 보였습니다.

한편 3,4분기 코스피 이익 전망치는 가파르게 하향하는 모습인데요. 최근 4주간 3분기 전망치는 -2.9%p, 4분기 전망치는 -3.8%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 9월 주식시장의 주요 이슈는 무엇인가요?

잭슨홀 미팅 이후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긴축 정책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내비치면서 금리는 상승하고, 주가는 하락했습니다. 파월 연준 의장은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당면 목표가 인플레이션을 목표치인 2%로 되돌리는 것이라고 말했는데요. 인플레이션 압력이 둔화될 가능성은 있지만, 고용시장을 감안하면 금리 인상을 중단하거나 조기 정책으로 전환하는 것은 시기 상조라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가계 및 기업의 고통은 수반되겠지만, 물가 안정 실패가 더 큰 고통을 야기할 것이라며 긴축정책을 지속하겠다고 분명히 밝혔습니다.

| 잭슨홀 미팅의 영향은?

선물시장에 반영된 미국 연방기금금리 전망치는 7월 말 3.3%에서 8월 말 3.7%로 상승했는데요. 그 이후로도 정책금리가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통화정책이 전환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빠르게 사라지면서 미국 국채금리 수익률 곡선은 전 만기 구간에 걸쳐 상향되었는데요. 이에 따라 주식에 대한 요구수익률이 높아졌고, 주가의 하방 압력 요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

| 기업이익에 대한 기대는?

기업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명목 기준 소매판매는 양호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인건비와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기업의 비용 구조는 악화되었는데요.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실질소득이 감소하면서 매출량이 역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기업의 매출액 전망치는 유지되겠지만, 마진이 하향 조정됨에 따라 이익 전망치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달러화 강세 영향

잭슨홀 미팅에서 미국이 긴축 정책을 지속할 것이라는 의지를 보이면서 미국과 미국 외 지역의 금리차가 확대되었는데요. 이는 곧 미국 달러화 강세로 이어졌습니다.

미국의 금리 상승과 미국 달러화 강세 조합은 신흥국 자산 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신흥국 통화 약세는 곧 신흥국 당국의 금리 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신흥국 투자에 대한 요구 수익률이 확대되면서 자산 가격이 하락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 앞으로의 시장 전망이 궁금해요.

6월 이후 시장이 상승한 이유는 미국 연준이 통화정책을 조기에 전환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 때문이었는데요. 잭슨홀 미팅에서 통화정책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하면서 기대감에 상승한 상당 부분은 되돌아가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또한 현재 정책금리 전망치가 5~6월에 형성됐던 수준보다 높다는 점은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지만,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었다는 점은 유리한 요인인데요. 향후 시장은 전 저점과 8월 고점 사이에서 박스권 움직임을 보이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