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월 주식시장 전망

| 4월의 주식시장은 어떠했나요?

2021년 4월에 전 세계 자산시장은 세 가지 뚜렷한 특징을 나타냈습니다. ①주식의 채권 대비 강세, ②대체자산의 강세, ③미국자산의 강세가 그것이고요. 국내 증시의 경우 코스피가 한 달 동안 2.8% 상승했습니다. 스타일 측면에서는 가치주가 성장주 대비 양호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 철강, 조선 등 저PBR(주가순자산비율)의 경기민감업종이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애널리스트의 이익전망치는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이익 상승을 주도하고 있는 업종은 반도체, 화학, 은행, 증권, 철강 등입니다.

| 가치주 강세 국면은 지속될까요?

인플레이션 및 금리상승 환경에서 가치주가 성장주 대비 초과성과를 지속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채권시장에서 금리상승기에 단기채권이 장기채권 대비 양호한 성과를 보이는 것처럼, 주식시장에서도 자산 듀레이션이 짧은 가치주가 성장주 대비 강세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향후 시장의 관심사는 ①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인가 ②시장금리는 얼마나 상승할 것인가에 맞추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현재 인플레이션은 비용요인(유동성 확대로 원자재 가격 상승)과 수요요인(하반기 경제회복)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현 시장금리는 ①장기 중립금리 대비 낮고, ②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이며, ③과거 정책금리 대비 장단기 스프레드가 낮아 향후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기준 50~100bp가 추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따라서 가치주 강세 국면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대체자산 가격이 상승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경기정상화의 기대감이 부동산 및 리츠 가격 상승으로 연결되고 있습니다. 이는 지난해 낙폭의 역순으로 회복 중인 것인데요. 부동산과 인프라는 인플레이션에 연동하여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헤지용으로도 수요가 존재합니다. 또한, 채권가격이 하락한 상황이기 때문에 배당주나 리츠는 채권 캐리수익(채권 보유 시 이자수익)의 대체자산으로도 수요가 확대되는 요인이 있습니다.

| 앞으로의 시장전망과 투자전략이 궁금해요.

인플레이션 및 금리 상승 환경에서는 가치주, 경기민감주의 강세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다만 신흥국은 달러 강세 및 미중 갈등으로 인한 성과 위협요인이 있습니다. 채권가격 하락 및 경기회복 국면에서 부동산, 인프라 등의 대체자산 수요가 캐리수익 확보 및 포트폴리오 위험 조절 측면에서 확대될 것으로 보여 관심을 가져보시기를 권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