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어깨에서 사서 무릎에서 팔 수 밖에 없는 이유

“왜 투자는 내 뜻대로 안 될까요?”

오늘도 투자 고민에 잠 못 이루는 분들이 많죠. 수많은 투자자 분들의 고민을 위해 성자씨가 솔직한 투자 조언을 들려드립니다. 우리는 어떻게 하면 투자를 잘 할 수 있을까요? 

투자자들을 위한 솔직한 이야기, 1탄!

수익률도 괜찮고, 안정적인 펀드라는데 나만 손실이 나는 이유는 뭘까요?

삼성자산운용_투자작전타임_장기투자_1표지_170414 삼성자산운용_투자작전타임_장기투자_2_170414

만약 연 평균 29%의 수익률을 내는 펀드가 있다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많이들 가입하시겠죠? 실제로 이런 펀드가 있었답니다. 바로 월가의 영웅이라 불린 전설의 투자가 피터 린치의 ‘마젤란 펀드’였죠.

 

삼성자산운용_투자작전타임_장기투자_3_170414

마젤란 펀드는 13년간(1977~1990) 연 평균 수익률이 무려 29%! 매년 +수익을 냈고 11년간 벤치마크 지수보다 성적이 좋았습니다. 그야말로 괴물같은 펀드였죠. 이 펀드 가입자들은 얼마나 행복했을까요?

삼성자산운용_투자작전타임_장기투자_4_170414

그러나 놀랍게도 마젤란 펀드 가입자의 절반 이상은 손실을 봤습니다. 한국도 사정은 비슷한데요. 국내 주식형 액티브 펀드의 수익률을 조사해보니, 펀드매니저의 수익률에 비해 고객의 실제 수익률은 낮다는 것이 드러났습니다.

삼성자산운용_투자작전타임_장기투자_5_170414

도대체 왜 이런 걸까요? 인정하기 싫지만 개인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는 여러 가지 비이성적인 생각들이 개입합니다. (혹시 위와 같은 생각으로 투자의사 결정을 내린 적이 없는지 잘 떠올려 보세요.)

삼성자산운용_투자작전타임_장기투자_6_170414

때문에 결과적으로 가격이 오르면 사고, 가격이 내리면 파는 웃지 못할 투자 패턴을 보이게 됩니다. 결국 어깨에서 사서 무릎에서 팔게 되는 거죠.

삼성자산운용_투자작전타임_장기투자_7_170414

실제로 2001년 이후 각 투자 주체별 수익률을 살펴보면 개인투자자의 연 평균 수익률만 유독 뒤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개미들만 피본다는 말이 사실이었군요! KOSPI에 묻어두기만 했어도 수익률이 훨씬 좋았을 텐데요.

삼성자산운용_투자작전타임_장기투자_8_170414

마젤란 펀드 가입자들도 장기간 묻어두었으면 그 수익률을 고스란히 가져갔을 텐데요. 시장이 오르내리는 것을 견대지 못하거나, 단기수익률에 취해서 성급하게 환매를 하는 바람에 손해를 본 개인투자자가 많았던 겁니다.

삼성자산운용_투자작전타임_장기투자_9_170414

2013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유진 파머 교수의 미국 주식 데이터 실증 사례를 보면, 장기로 투자할수록 손해 확률이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한국의 KOSPI 시장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삼성자산운용_투자작전타임_장기투자_10_170414

장기투자의 힘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명되고 있습니다. 어깨에서 사서 무릎에서 파느라 지친 개인투자자라면 비이성적인 투자패턴에서 벗어나 장기투자 전략으로의 심기일전이 필요한 때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