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은퇴 준비 현황, 은퇴준비 지수로 알아보자!

“삐용~ 삐용~” 우리나라 국민의 은퇴준비 지수에 빨간 불이 켜졌다고 합니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가 발간한 ‘한국인의 은퇴준비 2014’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은퇴준비 지수는 56.7점으로 ‘주의’ 단계로 평가됐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2014년 대한민국 은퇴준비 현주소를 알아보고 이를 보완할 방법에 대해 성자씨와 함께 생각해 볼까요?

대한민국 은퇴 준비 현황, 은퇴준비 지수로 알아보자!

개인연금

대한민국 은퇴 준비의 현주소는?!

은퇴 후의 삶에 중요한 요소가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크게 건강, 관계, 활동, 재무 등의 항목을 생각해 볼 수 있을 텐데요. 신체 및 정신이 건강하고, 가족 및 대인관계가 원활하며, 사회활동 및 취미 등의 활동을 쉬지 않고, 경제적으로도 안정적인 노후생활은 누구나 꿈꾸는 미래의 모습이겠지요.

그러나 ‘삼성생명 은퇴준비 지수 2014’의 조사에 따르면 건강, 관계 활동, 재무 각 항목의 은퇴준비 지수는 100점 만점에 56.7점에 그쳤다고 하는데요. 이는 ‘위험’ 수준을 겨우 넘어선 ‘주의’ 수준이며, 은퇴준비가 양호한 계층은 10가구 중 1가구 (11%)에 불과해 현재 대한민국 은퇴준비 상태는 매우 불안한 상태라고 하니 정말 큰일이죠?

재무, 노후준비 항목 중 가장 하위를 기록

개인연금재무, 노후준비 항목 중 가장 하위를 기록 

영역별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관계 영역'(63점), ‘건강 영역'(58.1점), ‘활동 영역'(54.3점), ‘재무 영역'(51.4점) 순으로 조사되어 노후 생활을 유지하는데 꼭 필요한 재무 준비가 최하위를 기록하였습니다.

조사 응답자들은 은퇴 후 노후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일정 금액 이상의 소득이 필요합니다. 은퇴가구의 노후생활 유지비는 매월 평균 202만 원, 보다 여유 있는 노후생활을 위해서는 매월 약 302만 원의 소득이 필요하다고 답했는데요, 현재 은퇴가구는 소득은 은퇴 직전 월 소득에 비해 평균 60% 정도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은퇴 대비 저축률 또한 35%에 불과하여 적절한 대비에 한참 미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소득은 적어지지만 향후 기대수명은 점점 높아지고 있어 은퇴 후 노후준비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요. 안정적인 평생 소득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는 지금, 노후를 앞두고 꼭 준비해야 할 재무 준비는 무엇일까요?

은퇴 후 고정 수익으로 안정적인 노후생활에 도움 되는 ‘개인연금‘

개인연금은퇴 후 고정 수익으로 안정적인 노후생활에 도움 되는 ‘개인연금’

은퇴 후 소득이 줄어드는 것을 막을 수 없다면, ‘개인연금’을 통해 지금부터 노후에 받을 수 있는 고정적인 수익을 마련해 보는 것은 어떠신가요? 국민연금 등의 공적 연금 이외에 개인적으로 노후준비를 위해 마련할 수 있는 장기 저축인 ‘개인연금’은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답니다.

개인연금 펀드는 연간 연금저축계좌 납입액 400만 원 이내에서 12%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과세 이연 및 분리과세가 가능한 상품으로 개인연금 펀드를 5년 이상 적립 유지하고 만 55세 이후에 10년 이상 연금 형태로 수령할 경우 적립기간 동안 배당소득세가 별도 과세되지 않고, 수령금액에 대해 연금 소득세로 과세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개인연금 펀드는 금융기관의 계좌를 통해 다수의 상품 가입이 가능하므로 선택의 폭이 넓고 분산투자가 가능하다는 장점(단, 모든 금융기관에 가입한 연금저축 합계액(퇴직연금 합산)이 연간 1,800만 원 이내여야 함) 도 가지고 있답니다.

은퇴 후 노후생활, 지레 불안함을 가지고 걱정만 하기보다는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하여 ‘개인연금’과 같은 노후준비를 통해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해 보는 것은 어떠신가요~?!

 ● 개인연금 펀드 자세히 보러가기 → http://bit.ly/1kDKEx6

 

삼성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18-189호(2018.05.21)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